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세상 모든 잡동사니 집합소 스레TV
배틀 그라운드 총기별 조준 부착물 효과 정리(탄착군 추적) 본문
728x90
반응형
- 총기별 탄착군으로 살펴보는 조준 부착물 효과 정리
금방 끝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기간이 너무 소모되어서 불안전한 상태로 업로드 합니다.
가급적 모든 주류 총기를 다루려고 하다보니 운(Luck)의 영향을 너무 많이 받더군요.
예를들어 엠포 같은 경우에 모든 파츠를 다 구하려면,
엠포를 주울 확률 x 개머리판을 주울 확률 x 앵글손잡이 주울 확률 x 수직손잡이 주울 확률 x 5.56mm 총알을 200발 주울 확률
x AR 보정기 주울 확률 x AR 소염기 주울 확률 x AR 소음기 주울 확률
이렇듯 엄청나게 낮은 확률을 뚫어야 모든 파츠를 다 구해서 전체 탄착군을 비교할수가 있습니다.
재수가 좋아서 AR 소음기를 빨리 얻었지만 총기를 못얻어서 그 판 그냥 버린 경우도 셀 수 없고요 ㅠㅠ
그런데 이 모든 부착물을 한 라운드에 다 줍는다? 말이 안되는거죠. 제가 현재까지 하루에 2~3시간 정도씩
총기와 부착물만 먹고다니면서 실험을 하는데 사흘 정도 걸렸습니다만 아직도 파츠를 다 못 맞춰본 케이스도 있습니다.
그래도 일단 이정도면 충분히 어느 정도 결론은 나올만하겠다 싶어서 최대한 정리해 올려봅니다.
순서는 샷건류 - SMG류 - AR류로 진행됩니다.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다른 총기와 혼합하여 정보를 제공합니다.
차후에 운좋게 한 라운드 안에서 파츠를 얻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게 되면 이 게시물을 수정-보완하도록 하겠으니
넓은 마음으로 양해부탁드립니다.
모든 탄착군 실험은 아파트 3층에서 이루어졌으며, 항상 동일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창가에 등을 대고
앉은 상태에서 계단 쪽 벽을 향해 1인칭 조준으로 발사하였습니다.
마우스의 위치는 고정한 상태에서, 최초 에임은 벽 하단부에 장식된 나무 장식과 하얀색 페인트 부분 사이에 있는
가로 목재 몰딩 부분에 놓았으며, 조준은 레드 도트 사이트로 하였습니다.
총알 발사 속도는 0.5초당 1발씩 발사(조정간 단발) 하도록 입력 매크로를 이용하였고, 동일한 에임 부착물을
장착한 상태에서 각 10발씩 구분하여 좌에서 우로 사격했습니다. 숨참기 키(shift)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외에 실험 조건에 대해 궁금하신 부분이 있을 경우 댓글로 문의주시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스크린샷이 너무 어두운듯 해서 포토샵으로 명도를 좀 올려봤습니다. 아래 덧붙인 글씨가 좀 흐려지긴 했는데
탄착군 보기에는 더 편해진 것 같네요)
--------------------------------------------------------------------------------
--------------------------------------------------------------------------------
<S686 - 더블배럴 샷건>
초크를 장착하면 탄착군이 엄청나게 집중됩니다. 상대방과의 거리가 약간이라도 멀어진다면 초크 유무가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위 탄착군은 연속으로 2발을 모두 발사했을 때의 탄착군이므로 초크 장착 상태에서
상대에게 2발을 다 박을 경우 거의 대부분 바로 죽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S1897 - 펌프액션 샷건>
위 탄착군은 연속 5발을 모두 발사했을 때의 것 입니다. 더블배럴 샷건과 마찬가지로 초크 부착시 탄착군이 굉장히
좁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펌프액션 샷건은 초크를 부착하고 연속발사시 반동이 거의 상하로만 작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더블배럴 샷건에 비해 탄퍼짐 자체가 좀 있는 편이라 초크를 부착하더라도 좀 더 근거리에서 싸워야 합니다.
<S12K - 사이가>
사이가의 경우엔 부착물 없이 연속 5발을 사격했을 때 탄착군이 천장까지 올라가닿는 엄청난 반동이 있습니다.
오른쪽은 보정기를 부착한 탄착군인데 부착물이 없을 때보다 확연히 나아진 상태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보정기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탄퍼짐이 펌프액션 샷건보다 심하기 때문에 상당한 근거리가 아니면
제대로 파괴력을 내기 어려운 총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소염기와 소음기는 같이 먹질 못해서 실험을 못했습니다. 나중에라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
<Micro_Uzi - 마이크로 우지>
(여러 라운드에 걸쳐 모은 것이라 화면별로 밝기가 많이 다르네요ㅠㅠ 양해 부탁드립니다ㅠㅠ)
마이크로 우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부착물이 없을 경우 상하 반동도 있지만 좌우반동이 심각합니다.
보정기 부착시 상당히 에임이 안정됩니다. 소염기 역시 상당히 에임 집중도가 높아지는 것이 보입니다.
소음기의 경우 상하 반동은 거의 그대로인데 좌우가 좀 더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개머리판은 상하와 좌우 반동폭이 모두 약간씩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보정기와 개머리판을 함께 장착했을 시 탄착군이 굉장히 좁아지면서 단발 광클시 상하 제어만 잘 된다면
꽤나 위력적인 무기가 될 듯 합니다. (다만 기계식 조준기 뿐이라 그 부분이 단점이죠)
<UMP9 - 일명 움프(엄프)>
일명 갓움프, 혹은 갓프로 불리는 UMP9 입니다. 현재 가장 활용도가 높은 축에 속하는 총기입니다.
특이한 점은 부착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도 굉장히 안정적인 반동을 보여준다는 사실입니다.
보정기만 장착했을 때에도 상탄제어를 좀 해준다면 그것으로도 충분할 정도입니다.
수직손잡이와 앵글손잡이는 단발 사격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30발 연사 탄착군을 보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단발 사격시에는 수직손잡이가 확실히 탄착군 상하 길이가 짧아서 좋아보입니다)
연사 탄착군을 살펴보자면 연발 사격시에는 앵글손잡이가 압도적으로 안정적입니다.
즉, 연사 위주로 UMP9 을 운용할 경우 수직손잡이보다 앵글손잡이를 부착하는 것이 좋은 선택입니다.
(단발 위주라면 수직손잡이가 좀 더 상탄 제어에 편리합니다)
아직 소음기를 함께 입수해보질 못해서 없는데 한 라운드에 입수하게 되면 스크린샷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UMP9 실험 도중 9mm 총알이 떨어져 줏으러 나갔다가 운좋게 소음기를 먹었지만 아파트로 돌아오다가
2단계 자기장에 죽었어요 ㅠㅠ)
- 벡터는 아직 주워보질 못해서 실험하지 못했습니다. 차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
---------------------------------------------------------------------------------------------
<AKM - 에이케이>
AKM의 경우 보정기를 부착하더라도 상당한 상하-좌우 반동이 있습니다. 사용하기 어려운 총이라는 뜻이죠.
그나마 보정기를 사용했더니 약간씩 반동이 잡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른 총기의 경우를 보면 소염기가
보정기보다 제어 효과가 떨어지므로, AKM에는 가급적 보정기를 달아주는게 명중률을 올리는 방법이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소염기와 소음기는 동시에 입수하지 못했습니다만, 보정기보다 에임보정 효과가 떨어질 것이 분명하므로 생략합니다)
<M16A4 - 엠십육>
M16의 경우 보정기를 부착해야 꽤 쓸만해집니다. 소음기는 반동제어에 사실상 큰 의미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상하-좌우 반동이 심한 편이나 AKM보다는 훨씬 양호합니다. 하지만 역시 부착물을 쓴다면 무조건
보정기를 사용하시는게 낫습니다.
<SCAR - 스카>
요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FN SCAR 입니다. 부착물이 없을 경우 상하반동보다 좌우반동이 눈에 띕니다.
단발 사격을 위주로 운용한다고 하면, 수직손잡이를 달 경우 좌우 보정효과가 거의 없으므로 사실상 앵글손잡이를
사용하는게 정석이란걸 알 수 있습니다.
왜냐면 수직손잡이를 달고 좌우반동을 수동제어하는 것보다, 앵글손잡이를 달고 상하반동을 수동제어하는 것이
더 쉬운 편에 속하니까요. 기본적으로 좌우반동이 심한 총이라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겠네요.
<M416 - 엠포>
![](https://cafeptthumb-phinf.pstatic.net/MjAxNzA2MThfMTgy/MDAxNDk3NzMzODc2MzQw.Amg2c0Qgi_jU1OLYGBOlATdBPTGEci0ionY7p5BM5acg.p7O-lbp8uyrOhrFF9bUQO-uQjcA_9LdcGRVK7TRx-2kg.PNG.offnizel/%EC%97%A0%ED%8F%AC.png?type=w740)
(제가 운이 없는건지, 보정기와 소염기를 먹으면 엠포를 못먹고...엠포를 먹으면 보정기와 소염기 중 하나를 못먹는
악순환이 계속되어 이렇게 밖에 테스트를 못했습니다ㅠㅠ 양해 부탁드립니다ㅠㅠ)
M4의 경우에는 부착물 하나만 가지고는 안정적인 반동제어가 이뤄지지 않는 케이스 입니다.
최소 개머리판은 기본 장착된 상태에서, 앵글손잡이나 수직손잡이 중 하나를 추가로 얻어야만 반동제어가 잘 됩니다.
수직손잡이나 앵글손잡이 하나, 혹은 개머리판만 장착한 경우엔 에임 고정 효과가 미미합니다.
즉, 보정기나 소염기는 제외하더라도 수직손잡이 + 개머리판, 또는 앵글손잡이 + 개머리판 ...이렇게 구성이 되어야 합니다.
맨 아래 10발 단발 연속 발사 탄착군 스크린샷을 보시면 두 가지를 부착했을 경우 모두 안정적인 탄착군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보정기까지 달아준다면? 100미터 이내에선 에임 겨냥한 곳에 총알이 그대로 갖다박힌다는 뜻이죠.
풀파츠를 다 얻었을 경우 가장 완벽한 총은 M416 입니다. 개머리판 들고 있다면 다른 AR 버리고 엠포를 선택하세요.
앵글이나 수직 등, 손잡이류는 등장 확률이 높으니까 라운드 중간에라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나중에 보정기와 소염기 조합까지 테스트하여 스크린샷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정기 + 개머리판 / 보정기 + 수직손잡이 / 보정기 + 앵글손잡이 / 풀파츠 조합까지 모든 테스트가 꼭 필요한 총기네요)
----------------------------------------------------------------------------------------
----------------------------------------------------------------------------------------
기타 다른 총기 (저격총류 / 토미건 / M249)는 에임부착물 테스트가 굳이 필요없는 부류라서 제외했습니다.
일단 가장 많이 쓰이는 총기 + 에임부착물 조합은 거의 적은 것 같네요. 부족한 부분은 제가 근시일 내에
반드시 테스트하여 올리겠습니다. 운이 좋아야할텐데....총은 나왔는데 부착물을 못먹을 때가 제일 힘듭니다ㅠㅠ
배틀그라운드를 즐기는 유저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오늘도 Winner Winner, Chicken Dinner~! 모두 치킨 드세요~
출처: 네이버 카페(http://cafe.naver.com/playbattlegrounds/67451)
반응형
Comments